본문 바로가기
1그램의 글쓰기

4일차, 나의 시간과 부모님의 시간

by 다3 2023. 5. 6.
반응형

나는 아직 20대 후반정도의 마음인데, 사회적 나이는 30을 훌쩍 넘기고 서른다섯이라는 숫자가 되었다. 공감이 가지 않는 수치이다. 딱히 일상에서 이 숫자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도 않아서 가끔은 내가 이정도를 살았다는걸 까먹기도 한다.

하지만 엄마아빠를 보면 현실을 체감한다.
40대의 모습으로 영원할 것 같았는데, 어느덧 환갑을 넘기시고 근육이 빠져나가는 체형을 볼때면 마음이 아프다. 아직은 두분이 경제활동도 활발하고 크게 아픈 곳도 없어 젊어보이시다가도 뒷모습을 볼때면 유독 마음이 쓰인다. 왜 이렇게 마르셨는지 슬프다. 근력운동을 더 하라고 괜히 다그치기도 한다.

부모님이 없는 삶은 생각해본 적이 없는데.. 혹여나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을까봐 벌써부터 걱정이 된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지 다짐한다.

짧은 영상을 찍다가 무심코 엄마를 카메라에 담았는데, 엄마가 웃으며 포즈를 취하다 갑자기 유언을 남기셨다. 엄마가 없는 삶도 올거야. 그때 이 영상을 보면서 엄마 생각해.
애써 웃으며 찍고 있었는데 들을수록 슬펐다. 그날의 영상은 꽤나 길어졌고, 나는 이 영상을 평생 간직 할 것이다.

생명이라는게 참 아이러니하다.
모두가 본인의 끝은 죽음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리고 이 죽음이 언제가 될지 아무도 모른다. 그러면서도 미래를 향해 달린다. 잔인하게 느껴질때도 있다. 가혹하다.
우주 속 아주 작은 먼지만한 지구 안, 수-많은 생명체 중의 아주 작은 아무개 89476495277495번째 인간으로써 할수 있는건 딱 하나겠지.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정신.
법정스님의 말씀처럼 왜 살아야하는지 고민하지 말고, 일단 즐겨야겠다. 어떻게 살아야할지를 고민해야겠다.

엄마 아빠 가족들 그리고 내가 아끼는 친구들을 만나는 시간엔 그들에게 집중하고 충분히 즐길 것이다. 표현 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